필자는 미국 ETF를 사랑하지만 한국에도 괜찮은 ETF들이 많이 있음
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두 ETF를 설명해 보겠음
KODEX 200이나 TIGER 200 모두 KOSPI 200지수를 추종하는 ETF임
1990년 1월 시총을 100p로 계산하고 현재의 시총과 비교하여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됨
한국은 S&P500과 다르게 종목 변동을 매년 6월마다 "주가지수 운영회"에서 결정하여 200종목을 변동함
KODEX 200은 뭘까 ?
먼저 KODEX 200
KODEX 200은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KOSPI 200을 추종하는 펀드중 가장 시총이 높고 거래량이 많음
재미있는건 KODEX 200의 30%가량이 삼성전자 주식이라는 것임
삼성전자의 주가에 따라 펀드가격이 움직인다고 보면 쉬움
2020년 기준으로 5조 1,500억 규모이고 월평균 4,000억 정도의 거래가 발생됨
운용 보수는 연간 0.15%로 상당히 높은편이고 KODEX 200은 반도체 비중이 높고 수출 의존도가 높아 세계 경제상황이 안좋아지면 하락하는 경향이 높음
미국의 대표적 ETF인 S&P500(SPRD)는 30년간 7배 오른데 반해 KOSPI 200지수는 30년간 지수가 3배밖에 오르지 못하였음
주식형 펀드라 정확하게 KOSPI 200지수를 추종하지 못하지만 한국의 성장을 기대한다면 가장 적절한 펀드라 할 수 있음
KODEX 200선물 인버스 2X
흔하게 얘기하는 이름은 곱버스
한국주식이 하락하는 장에 투자하는 ETF 펀드임 선물 지수를 추종하기에 KODEX 200과 정반대로 움직이지는 않음
하지만 금일 한국시장이 2%가량 하락하였다면 해당 ETF는 4%가량 상승한다 생각하면 됨
운용 보수는 0.64%로 KODEX 200보다 많이 높음
하지만 개인이 공매도에 투자하지 못하는 한국에서는 하락장에 적절한 대처를 한다면 이득을 볼 수 있음
(코로나 초기 해당종목으로 돈벌었다는 얘기가 많은 카페를 돌아다녔음)
여담으로 지금같이 주식시장이 좋은 경우 종목 토론방에 들어가면 곡소리나고 재미있는글이 많음
결론
KODEX 200과 KODEX 선물 인버스2X의 간단한 개요만 적어봤음
두 종목 모두 쉽게 거래가 가능하지만 지수를 추종하는 주식이기에 괴리율을 확인하지 않고 사면 바로 손해볼 가능성이 높음
괴리율이 0%일때 지수에 정확하게 추종한다고 생각하면됨
하나더 적으면 TIGER 200도 KODEX 200과 같은 상품인데 미래에셋에서 운용하는 ETF임
시총은 KODEX 200에 절반정도이고 거래량도 반밖에 안되지만 운용보수가 0.05%로 상당히 저렴함
만약 적금처럼 KOSPI지수에 투자하고 싶다면 TIGER 200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음
'국내 주식, ETF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년 에이치엘비 주가 상승하나 ? (0) | 2021.01.08 |
---|---|
시장 점유율 감소에 따른 21년 인텔 주가 분석 (2) | 2021.01.07 |
넷마블 주가를 상승시킬 중국시장 OPEN?? (0) | 2021.01.04 |
LG전자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? (1) | 2021.01.01 |
보호예수 풀리는 SK바이오팜, 주가의 향방? (0) | 2021.01.01 |
댓글